계간〈들소리문학〉2013년 봄호 발간, 메시아닉주를 통해 헤브라이즘 원형 모색

   
 

문학과 역사를 통해 기독교 원형을 추적하는 계간 〈들소리문학〉 봄호가 발간됐다.

이번 봄 호에서는 권혁승 교수(서울신학대학교 구약학), 민영진 박사(대한성서공회 직전 총무), 조효근 목사(본지 발행인)가 참여한 헤브라이즘 대담을 통해 헤브라이즘의 원형 중 하나인 ‘메시아닉주’를 집중 조명했다.

대담 참여자들은 메시아닉주가 헤브라이즘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 통로임과 동시에 유대교와 기독교의 연합을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권혁승 교수는 “메시아닉주를 만난다는 것은 잃어버린 유산을 찾는 것과 같다”며 초대교회 시대부터 기독교와 유대교적 특성 모두를 그대로 유지해오고 있는 그들의 역사적·신학적 의미를 강조했다.

조효근 목사는 “헤브라이즘의 원형을 찾는 일은, 결과적으로 유대교와 기독교가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또 그렇게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며 권 교수가 제시한 메시아닉주에 대한 연구를 통해 헤브라이즘 종교들과의 합의점을 찾아나가고 재림과 같은 기독교의 중요한 신학적 문제들을 풀어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권 교수는 최근 ‘TJC Ⅱ(Toward Jerusalem Council Ⅱ)’ 등의 이스라엘과 한국교회의 활발한 학문적 교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차후 메시아닉주에 대한 연구가 재림과 한국의 통일 문제 등 다양한 신학적·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다는 논의까지 이끌어나갔다.

이밖에 민영진 박사는 히브리즘 논단 10번째로 토를라이프 보만(Thorleif Boman)의 〈히브리적 사유와 그리스적 사유의 비교〉를 소개하며 “그리스적 역사 기술은 과거사를 정리하는 것이며 히브리적 역사 기술은 하나님의 지속적인 행동에서 현재와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라고 논평했다. 덧붙여 헤브라이즘의 연원을 찾는 작업에서 이러한 히브리적인 포괄적 역사 이해가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한편 이번 봄 호에서는 김지향 등 18명의 작가들이 결성한 우당문학회의 시 작품들과, 신을소의 시 ‘상처’, 김형원의 수필 ‘파리에 대한 추억’, 이계선의 소설 ‘6·25 소년’, 최선호의 평론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자아의식’ 등의 작품들을 수록했다.

<복음인in 들소리>는 하나님의 교회다움을 위해 진력하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동반자로서 여러분과 동역하며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함께 하겠습니다. 샬롬!

후원계좌 : 국민은행 010-9656-3375 (예금주 복음인)

저작권자 © 복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