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념논쟁 바람직하지 않다”

▲ <기독교사상> 3월호

<기독교사상> 3월호 특집으로 ‘3.1운동인가, 3.1혁명’인가 타이틀로 선보였다. 지난해 3.1운동 100주년을 맏아 이슈가 된 3.1운동 명칭 문제. ‘혁명’으로 지칭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첫 번째 글에서 이준식 박사(독립기념관 관장)는 3.1운동에 담겨진 성격을 규명하여 이를 ‘혁명’으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먼저 3월 1일의 만세운동이 원인이 되고 임시정부 수립이 그 결과로 나타났다는 인식보다는, 1910년대 초부터 해외 독립운동 진영에서 등장한 임시정부 수립 움직임이 독립선언과 만세시위를 계기로 가시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각종 문헌자료를 예로 들며 설명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진영에서도 3.1운동을 혁명으로 인식하고 더 나아가 ‘대혁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임시정부의 임시의정원이 제장한 임시헌장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고 예증했다. 따라서 이 운동은 독립운동의 성격은 물론이거니와 군주제를 타파하고 새로운 민주적 질서를 기치로 삼은 국가를 건설하려는 민족적 혁명운동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두 번째 글에서 백종국 박사(경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는 정치학적 관점에서 ‘혁명’이라는 개념의 역사성과 이것에 비추어 3.1운동을 조명했다. 필자는 먼저 ‘민족’을 비롯한 여러 사회학적 개념들이 외국에서 수입된 용어라는 사실을 환기시키며, 근대적 민족국가의 성립은 ‘베스트팔렌 조약’과 ‘민족자결주의 선언’이 그 토대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혁명’이라는 용어는 근대에 이르러 ‘revolution’이라는 수입된 용어에 대한 번역어로 사용되었다. 새롭게 토착화된 이 개념은 서구의 사회과학을 수입하면서 범람하게 된 유사 개념들, 예컨대 쿠데타, 폭동, 반란, 봉기, 사회운동 등과 차별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한다. 이런 차원에서 사무엘 헌팅턴의 분류에 따라 ‘폭력적 수단의 사용 여부’와 ‘사회구조적 변화 여부’를 기준으로 이러한 용어들을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운동이 성공했느냐의 여부는 판단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3.1운동은 혁명적 성격이 강하지만, 이를 이념 논쟁으로 끌고 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마지막 세 번째 글은 독립운동 준비 단계에 참여하고 상해 임시정부에서 주요 인물로 활약한 현순 목사가 자필로 기록한 “현순자사”(玄楯自史) 중 16장 “3.1운동과 나의 사명”을 교회사학자 김흥수 교수가 우리말로 옮겨 쓴 역사적 자료다. 이 글에서 현순 목사는 상해를 비롯한 중국 여러 곳에서 독립운동가이자 임시정부 각료로서 어떤 임무를 수행했는지, 누구를 만났는지를 간략하게 여행기처럼 기록했다.

<복음인in 들소리>는 하나님의 교회다움을 위해 진력하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동반자로서 여러분과 동역하며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함께 하겠습니다. 샬롬!

후원계좌 : 국민은행 010-9656-3375 (예금주 복음인)

저작권자 © 복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