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병인
고병인가족상담연구소 소장

이 단계의 기본적인 움직임은 자녀가 가족경계 밖에 자유롭게 드나드는 것에 의하여 가족경계의 확대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단계에 있어서 가족의 발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들이 자유롭게 드나드는 것을 허용하는 부모자녀 관계로 이행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12년 내지 13년간 거의 안정된 가족경계를 지니고 있던 가족이 급속하게 그 경계를 확대하여 유연성을 높여 가야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청소년기의 자녀는 자유롭게 가족 밖으로 나가 같은 또래의 친구와 친밀한 관계를 가지며 부모의 대리를 발견하고 부모에게서 벗어난 자기를 확립하여 이성과의 정서적 친밀감을 얻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단계의 부모는 필요에 따라 청소년기의 자녀가 밖에서 돌아올 때의 보호와 피난의 장소를 확보하여 안정된 심리적 대상으로 계속 남아 있지 않으면 안 된다. 특히 중요한 것은 의식적으로는 부모에게 반항하거나 거부하는 청소년기의 자녀에게 가족 또는 가정이라는 중간적인 영역이 중요한 정신적 피난처가 된다는 사실이다. 자신의 방, 자신만의 공간, 영·유아기, 아동기부터 이어지는 연속성을 가진 가정의 심리적 또는 물리적인 구조는 그들의 정신적 안정과 연속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러한 청소년기의 어린이들은 가족 밖에서 가족 안으로 여러 가지 새로운 생각, 정보, 패션을 가지고 들어온다. 그리고 또래의 친구를 가족에게 데려 오기도 한다. 청소년의 이와 같은 행동에 가족이 얼마나 유연하게 대응하여 잘 적응해 갈 수 있는가가 중요한 발달과제이다.

둘째, 청소년기 자녀의 이러한 행동과 병행하여 중년기를 맞이하는 부모의 가족생활 주기상의 문제이다. 우선 부모들은 자녀들을 위한 물리적 또는 심리적 공간을 제공하여 가족 내에서 자녀의 부재에 대하여 인내를 가지고 지켜 봐 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청소년기의 자녀가 가지고 온 새로운 이질적인 정보와 패션 그리고 생각을 중요시하여 지금까지 부모들이 이상적이라고 믿어 온 생각을 넘어선 어떤 사물이나 사고를 이해하거나 받아들여야 한다. 자녀들의 반항에 현명하게 대처하고 자녀가 독립해 가는 것에 대한 불안을 견뎌 가지 않으면 안 된다. 보다 기본적인 문제는 이러한 가족경계의 확대에 부모가 어떻게 적응하는가에 있다. 

더욱이 청소년기 자녀의 발달에 관한 문제와 부모 자신의 중년기 문제가 서로 얽혀 있는 경우가 있다. 즉, 부부관계의 갈등에 또다시 직면하거나 아버지의 사회적 또는 직업적 문제, 어머니가 새로운 형태로 사회참여를 하는 것 들이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때로는 부모가 자신이 청소년기에 경험했던 자신의 부모와 분리되는 과정의 경험을 다시 한 번 들이켜 내면적 청소년기의 과정을 그들 스스로가 검토하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셋째, 조부모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와 직면하게 된다. 조부모가 노쇠하여 허약해지면서 동거하는 문제나 병든 조부모를 돌보는데 따른 여러 가지 스트레스가 가족에게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조부모와 동거하거나 교류가 친밀해지면서 부모 세대에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나며, 그러한 내면의 변화가 부모의 인간적인 성숙을 돕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개되기도 한다. 또한 조부모와 손자세대의 상호작용에도 새로운 발전을 가져오게 되는 경우도 있다.   

<복음인in 들소리>는 하나님의 교회다움을 위해 진력하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동반자로서 여러분과 동역하며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함께 하겠습니다. 샬롬!

후원계좌 : 국민은행 010-9656-3375 (예금주 복음인)

저작권자 © 복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