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리더십 유형과 리더 십성과  다.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  (가) 리더십의 신축성허시(Paul Hersey)와 블랜차드(Kenneth Blanchard)는 오하이오 대학 연구의 구조화와 배려의 개념을 이용하여 지도자의 행위를 과업행위와 관계행위의 2차원을 축으로 한 4분면으로 분류하고 여기에 상황변수로서의 성숙도를 추가하였다. 성숙도는 추종자의 직무성숙도와 심리적 성숙도로 구분하고, 성숙도(maturity)가 증가함에 따라서 리더십 유형이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 한국기독청년협의회,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등은 즉각 성명서와 함께 10일과 11일 연이어 서울지방경찰청 앞에서 규탄집회 샤인(Edgar Schein)도 진단자로서의 관리자를 강조하며, 리더는 환경의 요구에 부응함으로써 효과적인 리더십을 행사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추종자들의 욕구와 동기가 상이하다면 그들은 상이하게 취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응용행동과학(Applied Behavioral Science) 분야에서의 많은 연구들은 실제로 모든 의사결정에 있어서 모든 상황변수를 고려하는 것은 실행 불가능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허쉬와 블렌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모형에서 추종자와 관련하여 리더의 행동이 강조된다. 추종자들은 어떠한 리더십의 경우에도 그들은 개인적으로 리더를 수용하거나 거부하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다.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 행사에 있어서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가변적인 리더십을 행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본다.  농촌지역이냐 도시지역이냐 , 청년층이냐 노년층이냐 , 빈촌이냐 부촌이냐, 아파트지역이냐 주거지역이냐 등에 따라서 특히 교회 신자들의 동기와 그들의 심리적 상태, 즉 정신적 측면인 신앙심의 상태에 따라서 리더십의 변화가 있어야 할 것임을 말해 준다. (나) 추종자의 성숙성 브랜차드의 모형에서는 추종자의 성숙도를 상황적 변수로 고려하고 있다. 즉 추종자의 성숙도란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는 능력, 기꺼이 책임을 맡으려고 하는 의사, 그리고 교육과 경험으로 정의할 수 있다. 허시 등에 따르면 가장 효율적인 리더십 스타일은 추종자의 성숙도에 따라 변화한다. 허시 등의 상황요인에서 추종자의 성숙도는 두개의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직무상의 성숙도와 심리상의 성숙도이다. 직무상의 성숙도란 자신감과 몰입(commitment)을 말한다. 성숙도의 내용에 대해서 맥클랜드(David McClelland)는 성취동기가 부여된 사람은 공통된 특징들을 갖고 있는데, 높은 취득 가능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능력, 성공의 보상보다는 개인적 성숙에 대한 관심, 과업과 관련된 피드백에 대한 관심이다.직무성숙도가 높은 개인은 다른 사람의 지시 없이도 수행할 수 있는 지식, 능력, 경험을 갖는다. 자발성(심리적 성숙도)은 어떤 일을 행할 동기부여와 관련된다. 특정 분야에서 높은 심리적 성숙도를 갖는 개인은 책임의 중요성을 생각하고 직무에 대해서 자신감을 갖는다.  그들은 일을 수행함에 있어서 리더의 과대한 격려가 필요하지 않다. 다시 말해서 자발성(willingness)은 특정과업의 달성을 위한 자신감, 투입, 동기부여의 정도를 말한다. 따라서 교회 조직에서의 성숙도는 직무적 상황이 미약하기 때문에 직무적 성숙도 보다는 자발성과 몰입과 관련된 심리적 차원으로서의 성숙도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청주새세상교회 담임, 행정학 박사

<복음인in 들소리>는 하나님의 교회다움을 위해 진력하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동반자로서 여러분과 동역하며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함께 하겠습니다. 샬롬!

후원계좌 : 국민은행 010-9656-3375 (예금주 복음인)

저작권자 © 복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