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용성/예장합동 총회세계선교훈련원(GMS) 원장

최근 김남준 목사는 <영원 안에서 나를 찾다>라는 책을 냈다. 그는 책 서문에서 ‘현대인은 사상 없는 신앙의 가벼움이 일상화된 시대에 살고 있다’고 말했다. 저자는 선교지에서 만났을 때도 조국교회에서 만났을 때도 자주 어거스틴(Augustinus)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당시엔 학문적 심취로만 생각는데 책을 보며 새롭게 어거스틴을 이해하게 됐다.

어거스틴은 초대기독교와 중세기독교를 잇는 신학의 천재다. 어거스틴은 354년 11월 13일, 북아프리카 누미디아(Numidia) 히포(Hippo) 가까운 타가스테(Thagaste)에서 태어났다. 타가스테는 당시에 행정적으로 카르타고(Carthage)의 영향 아래 있었다. 누미디아의 옛 왕국에 속한 타가스테는 문명이 발달된 도시였다. 어거스틴의 아버지 파트리키우스(Patricius)는 로마 행정기관에서 일했다. 그는 신앙과 도덕에선 이방인이었다.

한편, 어머니 모니카(Monica)는 달랐다. 그녀는 경건한 기독교인이자 지성과 경건을 겸비한 여성으로 기독교 역사에서 훌륭한 어머니로 꼽힌다. 어거스틴은 경건한 어머니 밑에서 자랐지만 자유분방한 유년시절을 보냈다.

그는 소년시절 배우기보다는 놀기를 좋아해 학교에서 매를 맞지 않게 해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했을 정도였다. 소년시절 공놀이와 연극을 좋아해 학업을 소홀이 했던 그는 가정교사나 학교 선생님, 부모에게까지 거짓말을 했다.

어거스틴은 젊어서는 세상즐거움에 빠져 세속적 구경거리에 정신을 빼앗겼다. 결국 부모의 장롱에서 물건을 훔쳐서 놀길 더 좋아하는 친구들과 방탕하며 살았다.

어느 날 갑작스런 위 복통으로 죽을 고비에 있던 그때 어머니는 그에게 예수 그리스도에게 죄를 고백하며 용서함을 받고 건강이 회복되기를 권했다. 어거스틴은 <참회록>에서 죄 고백을 이렇게 정의한다. ‘죄는 지은 죄도 고백해야 하지만 지을 뻔한 죄까지 고백해야 한다’(2권 5절). 지은 죄 고백도 힘든데 지을 뻔한 죄까지 고백하는 모습에 더욱 나 자신을 들여다보며 숙연해졌다.

이스라엘은 가나안 정복 후 우상과 제단을 파괴하며 싸웠다(신 12:1~3). 가나안 족속들의 우상숭배 풍습까지 타파해야 했다. 그들이 우상을 섬기는 제의 방식을 흉내 내어서도 안 된다. 모세는 가나안 거민들이 몰록 신에게 행하던 가증스러운 예식을 금하도록 했다. 가나안 거민들은 자신들의 종교적 열심을 과시해 노한 신을 달래고 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자기 자녀들을 불살라 제물로 바쳤던 것이다(31절). 흉내도 내지 말라던 모세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훗날 솔로몬은 감람산에 몰록의 산당을 지었고(왕상 11:7), 아하스(대하 28:3)와 므낫세(왕하 21:6) 왕은 자신의 자녀를 불살라 바치기까지 했다. 이러한 가증한 행위들은 결국 유다 왕국의 멸망을 초래했다. 악은 모양이라도 버려야 한다(살전 5:22). 죄는 흉내를 내어서도 안 된다. 그것이 어거스틴의 변화된 삶이었다.

현대 기독교는 전통문화라는 미명 아래 우상숭배와 미신적인 풍습들을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인다. 사상 없는 신앙의 가벼움이 일상화 된 시대 속에서 목회와 선교를 하고 있다. 늘 깨어서 악은 그 모양이라도 버려야 하는 목회와 선교 현장이 되지 못하고 신앙의 가벼움으로 일관하고 있다. 사상이 없는 일상성 속에 파묻혀 바람 따라 목회와 선교를 하고 있다.

악은 모양이라도 버리고 죄는 흉내를 내어서도 안 된다는 경고를 조국교회는 가볍게 생각한다. 지금은 어거스틴처럼 사상이 있는 신앙의 무게로 비범한 삶을 살아야 한다. 

<복음인in 들소리>는 하나님의 교회다움을 위해 진력하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동반자로서 여러분과 동역하며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함께 하겠습니다. 샬롬!

후원계좌 : 국민은행 010-9656-3375 (예금주 복음인)

저작권자 © 복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