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사상> 3월호 특집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

▲ <기독교사상> 3월호

<기독교사상> 3월호(통권 733호)는 지난달 ‘3.1운동 100주년’에 이어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을 특집으로 실었다.

3.1운동을 계기로 국내외에서 여러 임시정부가 생겼고, 이는 상해 임시정부로 통합되는 과정을 거쳐 활동을 이어갔다. 주권을 잃은 상황에서 일제의 탄압을 피해 해외에서 활동하던 임시정부는 어떤 과정을 통해 어떻게 조직되었고, 그들은 어떤 활동을 했을까.

특집에서는 세 편의 글을 통해 각각 100년 전 임시정부의 실체, 임시정부와 오늘날 정부의 관계, 당시 기독교인들의 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김용달 소장(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 무엇을 기억하고 기념할 것인가’에서 당시 여러 임시정부들 중 3곳, 연해주에서 수립된 ‘대한국민의회 임시정부’(일명 러령정부, 3월 21일), 인천에서 조직된 소위 ‘한성정부’(4월 초), 상해에서 성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일명 상해 임시정부, 4월 11일) 등의 성립 과정과 성격에 대해 집중 조명했다. 세 임시정부가 지니고 있는 절차적 정당성과 운영 과정에서의 문제점, 이들이 어떻게 하나로 통합되었는지 설명하고 이들의 주요 활동과 역사적 의의를 네 가지로 정리했다.

한시준 교수(단국대학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대한민국 정부의 관계’에서 1919년에 설립된 ‘임시정부’와 오늘날의 ‘정부’와의 관계를 집중 조명,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대한민국’이라는 국호가 먼저 결정된 이후 정부의 조직 형태로 국무총리를 수반으로 한 6개 부서가 결정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국무총리 및 각 행정부서의 책임자를 정하는 국무원 선출이 이루어졌고 이어 헌법 제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임시정부 수립 절차가 마무리되었다고 설명한다. 오늘날 국회와 거의 유사한 임시의정원의 구성과 역할, 다양한 정부의 체제(국무총리제, 대통령중심제, 국무령제) 경험, 연호의 사용 등을 설명하며 임시정부의 설립과 이후 활동을 통해 전제군주제에서 민주공화정으로 변화했다고 그 의의를 짚는다.

김명배 교수(숭실대학교)는 ‘상해 임시정부 수립과 기독교 민족운동가들’에서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이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과정에서 어떻게 활동하고 얼마나 기여했는지에 대해 논한다. 우선 중국에서 활동한 신한청년당 및 여운형의 활동 내용, 손정도와 현순 목사의 국내 3.1운동 준비활동 등을 소개하며 3.1운동의 추동력과 추동 세력이 된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의 활약상을 설명한다. 이어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 수립 과정에서 현순의 상해 독립임시사무소 활동과 임시정부의 구성원 등을 자세히 논하며 임시정부 수립에 기독교 인사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을 제시한다.

<복음인in 들소리>는 하나님의 교회다움을 위해 진력하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동반자로서 여러분과 동역하며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함께 하겠습니다. 샬롬!

후원계좌 : 국민은행 010-9656-3375 (예금주 복음인)

저작권자 © 복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