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증원으로 환자와 가족들이 불안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의료계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은 지역의 열악한 의료환경을 개선할 공공분야 투자는 하지 않고 의대 정원이란 손쉬운 방법을 택한 것을 문제 삼는다. 증원된 인원이 수련할 인프라가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에 질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을 우려한다는 것이다. 이런 점을 개선하지 않으나 의사나 지역 병원이 늘어난다 해도 환자들은 ‘빅5’ 병원으로 몰릴 것이라는 것이다.

생명을 담보로 하는 의대생 정원으로 긴박하게 돌아가는 시점에 ‘생명’ 영혼을 위해 헌신하는 우리 기독교계의 목회자 수급이 오버랩됐다. 사실 노인 인구가 급증하면서 ‘의료진’ 수는 불가피하다는 것을 누구나 다 알고 있지만 젊은 세대의 인구 수 감소로 학교들이 문을 닫는 곳들도 있기 때문이다. 신학교도 여기서 예외는 아니다.   

이런 우려는 오래 전부터 교단 내에서 있어 왔다. 배출하는 신학생들이 넘쳐나지만 이들을 수용할 교회는 부족하니 그만큼 신학생 숫자를 조정해야 한다는 얘기였다. 한국교회가 부흥하던 시절인 1970년에 예장통합은 7개 교단 신학교 인허가 설립할 정도로 신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목회자 배출을 위한 신학생들도 증가했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국가적으로도 출생률이 1%대 이하로 빠지고 있을 정도다. 예장합동은 목회자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2년 후에는 뚜렷하게 진행되는 것이 수치상 보이기 때문에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교단 신학교인 총신 신대원도 경우 정원을 채우고 있을 정도다. 감리회는 최근 수급조절을 위해 3개 대학원을 통합해 운영하기로 했다.

예장통합은 최근 10년간 교세통계 변동 현황을 보면 교회, 목사, 장로 숫자는 조금씩 증가했지만 세례인 수는 2016년부터 빠지기 시작해 2022년에는 10년 전에 비해 13만1800여 명이 감소했다. 교회학교 통계는 더 심각하다. 대부분 10년 전에 비해 6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많은 교단에서 미자립목회자는 상당수가 ‘이중직’을 갖고 있으면서 생활대책을 스스로 책임지고 있는 상황이다. 목회자를 대책 없이 양성해 놓고 나몰라라 하는 것이 기독교의 현실이다. 기장이나 통합 외에 최저생계비조차 안돼 있어서 이중직으로 내몰리는 상황에서도 교단은 뒷짐을 지고 있다. 말로는 ‘교회 공동체’라고 하면서 신대원 졸업 후 목회자가 임지가 없어서 어떤 상황인지, 생활은 어떻게 하는지, 은퇴 이후 노후대책 등에 대해 책임 있는 정책이 없는 상황이다. ‘소명’으로 하나님께 부르심을 받아 올곧게 그 길을 갈 수 있도록 교단은 지금이라도 대책을 세워야 한다. 질도 인격도 갖추어진 목회자를 배출해 내야 한다. 

<복음인in 들소리>는 하나님의 교회다움을 위해 진력하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동반자로서 여러분과 동역하며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함께 하겠습니다. 샬롬!

후원계좌 : 국민은행 010-9656-3375 (예금주 복음인)

저작권자 © 복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